제이예나

blogger0637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4. 16.

    by. blogger0637

    목차

      미술심리치료



      ✍️ SCT 검사(문장완성검사)란 무엇인가요?

      “단어 몇 개로 시작된 문장이, 마음의 문을 엽니다.”


      1. SCT란 무엇인가요?

      Sentence Completion Test, 줄여서 SCT 검사
      불완전한 문장을 제시하고, 내담자가 이를 완성하게 함으로써 무의식적 감정과 사고를 탐색하는 심리검사입니다.

      복잡한 언어 능력이 없어도 가능하고,
      지시가 간단해 아동부터 청소년, 성인까지 전 연령층에 적용 가능합니다.


      2. 검사 목적과 특징

      항목내용
      🎯 검사 목적 자아상, 가족관계, 감정상태, 욕구, 갈등, 자기통제 파악
      🧠 심리학적 기반 자유연상과 투사이론에 기반 (프로이트, 머레이 등)
      📝 검사 방식 불완전한 문장을 읽고 자유롭게 완성
      👦 적합 대상 아동, 청소년, 성인 모두 가능 (특히 언어로 감정 표현이 어려운 아동에게 효과적)

      3. 문장 유형별 예시와 해석 포인트

      SCT 문장은 크게 다음과 같은 심리 영역에 따라 구성됩니다:


      ✅ 1) 자아 인식

      “나는 __________.”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__________.”
      “내 얼굴은 __________.”

      해석 포인트

      •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한다면 자존감 안정
      • 스스로를 부정하거나 왜곡되게 인식할 경우, 자아상 손상 가능성

      예시 반응

      • “나는 아무도 좋아하지 않는다.” → 대인관계 불신, 우울감
      • “내 얼굴은 못생겼다.” → 자기 비하, 자존감 저하
      • “나는 조용한 아이이다.” → 자기 이해 수준은 높지만 소극성 반영 가능

      ✅ 2) 가족관계

      “우리 엄마는 항상 __________.”
      “아빠는 나에게 __________.”
      “가족은 나에게 __________.”

      해석 포인트

      • 가족 내 애착 수준, 불만, 정서적 거리감 확인
      • 특정 가족 구성원에 대한 감정의 방향성 관찰

      예시 반응

      • “우리 엄마는 항상 나를 무시한다.” → 애착 회피 또는 분노
      • “아빠는 나에게 무섭다.” → 두려움, 감정 억제
      • “가족은 나에게 시끄럽다.” → 관계 피로감, 스트레스 반영

      ✅ 3) 감정과 욕구

      “화가 날 때 나는 __________.”
      “슬플 때 나는 __________.”
      “나는 가끔 __________ 하고 싶다.”

      해석 포인트

      • 감정 인식 능력
      • 감정 조절 방식(외향적/내향적)
      • 욕구 충족 방식

      예시 반응

      • “화가 날 때 나는 물건을 던진다.” → 충동성, 분노조절 어려움
      • “슬플 때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 내면 억제, 우울 가능성
      • “나는 가끔 사라지고 싶다.” → 상실감, 존재감 위축

      ✅ 4) 대인관계

      “친구는 나에게 __________.”
      “나는 친구와 있으면 __________.”
      “선생님은 나에게 __________.”

      해석 포인트

      • 또래관계 적응 수준
      • 신뢰, 협동, 경쟁, 질투 등 대인 정서 확인

      예시 반응

      • “친구는 나에게 무서운 존재다.” → 불안, 따돌림 경험 가능성
      • “나는 친구랑 있으면 즐겁다.” → 사회성 양호, 관계 안정
      • “선생님은 나를 싫어한다.” → 권위에 대한 부정적 인식

      ✅ 5) 미래와 소망

      “나는 커서 __________.”
      “앞으로 나는 __________.”
      “미래는 나에게 __________.”

      해석 포인트

      • 희망적/부정적 미래 인식
      • 목표 지향성, 자기 효능감, 기대치 파악

      예시 반응

      • “나는 커서 아무 것도 못할 것 같다.” → 자기 비하, 미래 회피
      • “나는 가수가 되고 싶다.” → 꿈, 자아실현 의지 반영
      • “미래는 어둡다.” → 우울감, 비관적 사고

      4. 연령별 실제 사례 소개 🎯

      👦 8세 남아 / 위축감 호소

      “나는... 그림을 못 그린다.”
      “엄마는 항상 바쁘다.”
      “나는 사라지고 싶을 때가 있다.”

      해석

      • 낮은 자기 평가
      • 정서적 방임 경험 가능
      • 상실감, 외로움 내재
        정서적 지지 제공 + 감정 언어 훈련 필요

      👧 11세 여아 / ADHD, 분노 조절 어려움

      “나는 내 마음을 모르겠다.”
      “화가 날 때 나는 뛰쳐나간다.”
      “아빠는 나를 소리치게 만든다.”

      해석

      • 감정 인식 미숙
      • 충동적 분노 표현
      • 가족 내 갈등과 스트레스
        감정 탐색 활동 + 가족 상담 연계

      🧍 15세 청소년 / 우울감, 성취감 결여

      “나는 항상 부족하다.”
      “나는 잘못된 선택을 많이 했다.”
      “미래는 걱정된다.”

      해석

      • 자존감 손상
      • 과거 회귀적 사고
      • 진로 불안
        자기 이해 중심 상담 + 미래 이미지 회복 활동 연계

      5. 미술치료와의 연계 활용 🎨

      SCT는 단어로, 미술치료는 이미지로 감정을 표현합니다.
      두 검사를 함께 활용하면 표현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감정 접근을 유연하게 만들 수 있어요.

      예시연계 방식
      슬픔을 언어로 표현 못하는 아이 그림 속 어두운 색 → SCT에서 “슬플 때 나는... 아무것도 못 한다.”
      분노 표현을 회피하는 청소년 사람 그림에서 눈 생략 → “나는 내 감정을 숨긴다.”
      가족에 대한 거리감을 그림으로 보여주는 아동 KFD에서 엄마와 거리감 → SCT에서 “엄마는 나를 모른다.”

      6. 활용 팁 & 면담 질문 예시 💬

      활용 팁

      • 긍정/부정 문장 균형 있게 배치
      • 문장 수: 20~40개가 적절
      • 어린 아동은 구두 응답 가능, 청소년은 자필 권장

      면담 질문 예시

      • “이 문장을 이렇게 쓴 이유가 있을까?”
      • “이건 너의 이야기일까, 누군가의 이야기일까?”
      • “이 문장에서 너의 기분이 느껴지는데, 맞을까?”

      7. 마무리하며 🌿

      문장 하나를 완성하는 그 짧은 순간에도,
      마음은 조용히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고 있습니다.
      “나는…”이라는 시작은, 곧 내면을 마주하는 용기입니다.

      SCT 검사는 말로 하기 어려운 감정,
      잘 정리되지 않은 생각,
      억눌린 욕구를 단어의 조각으로 꺼내게 돕는 도구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할 일은,
      그 문장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읽고, 느끼고, 들어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