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심리치료

🖼️ 동적 HTP 검사 & ✍️ SCT(문장완성검사)의 연계 활용

blogger0637 2025. 4. 16. 15:55

미술심리치료



🖼️ 동적 HTP 검사 & ✍️ SCT(문장완성검사)의 연계 활용

“말과 그림, 그 두 가지가 마음을 읽는 창이 될 때”


1. 동적 HTP 검사(Dynamic HTP)란?

정적인 그림에 ‘관계와 이야기’를 입히는 심화 검사

HTP(House-Tree-Person) 검사는 집, 나무, 사람을 각각 따로 그리도록 하여
자아상, 정서 안정성, 대인관계, 발달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하지만 현실 속 인간은 혼자 존재하지 않죠.
그래서 HTP를 발전시킨 형태가 바로 ‘동적 HTP(Dynamic HTP)’ 검사입니다.

🖍️ 무엇이 다를까요?

구분정적 HTP동적 HTP
지시문 집, 나무, 사람을 따로 그리세요 집, 나무, 사람이 함께 있는 장면을 그리세요
초점 각 요소의 개별 상징 요소 간 상호작용, 관계, 이야기성
활용 초기 진단 정서적 연결, 무의식 탐색, 가족 또는 사회 구조 투사

2. 동적 HTP에서 관찰해야 할 핵심 요소 🔍

✅ A. 요소 간 거리와 배치

  • 집과 사람이 멀리 떨어져 있음 → 가정 내 거리감, 소외
  • 나무가 사람보다 훨씬 크거나 그림을 가림 → 자아 왜소감, 억눌림
  • 세 가지가 중심 없이 흩어져 있음 → 관계 혼란, 정서적 분열 가능성

✅ B. 상호작용과 이야기

  • 사람이 나무에 앉아 있거나 집을 향해 움직이는 장면 → 감정의 흐름, 애착 대상 식별
  • 나무가 집을 덮고 있거나, 인물이 거꾸로 서 있음 → 비현실적 환상, 불안정한 현실 인식

✅ C. 배경과 상징적 요소 추가 여부

  • 하늘, 태양, 길, 동물 등 보조 상징들이 나타나면 내면 세계 확장 가능
    → 예: 구름, 천둥, 비 = 불안감
    → 햇살, 나비 = 긍정적 정서

3. 실제 활용 예시 🎯

👧 사례: 10세 여아 / 부모 이혼 / 불안 호소

  • 집은 조그맣고 굳게 닫힘
  • 나무는 집 옆에 있고 나무 위에 인물이 앉아 있음
  • 나무에만 잎이 많고, 사람은 집을 등지고 있음
  • 배경에 해와 비가 동시에 표현됨

해석
→ 집(가정)으로부터의 정서적 분리
→ 나무 위 인물 = 현실 도피, 보호자 결핍
→ 해와 비 = 감정의 양가성(좋음과 두려움이 공존)

치료 개입

  • “이 아이는 왜 나무 위에 앉아 있을까?”
  • “이 장면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어디일까?”
    → 이야기 나누기를 통해 정서 언어 강화 및 안전감 회복 유도

4. SCT 검사(문장완성검사)란?

문장 속에 숨어 있는 감정의 흔적을 찾아가는 도구

SCT(Sentence Completion Test, 문장완성검사)는
불완전한 문장을 제시하고 내담자가 이어서 완성하도록 유도하는 심리검사입니다.

예:

  • “내가 가장 화가 날 때는 __________.”
  • “아빠는 항상 __________.”
  • “나는 내 모습이 __________.”

이처럼 ‘문장 완성’이라는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무의식의 감정, 욕구, 상처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미술심리검사와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큽니다.


5. 동적 HTP + SCT = 깊은 감정 탐색 🔁

두 검사를 연계하여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장점설명
비언어 + 언어 정보 동시 확보 그림은 감정의 무의식적 표현, 문장은 사고의 의식적 표현
검사 간 정보 보완 그림에서 표현된 불안 → SCT에서 직접 언급되는 경우 해석 확정 가능
상담자와의 대화 유도 용이 그림만으로 부족했던 내담자 설명에 문장 완성이 실마리를 줌

6. 실제 연계 사례

👦 사례: 11세 남아 / 공격적 행동 문제 / 표현 거부

  • 동적 HTP: 나무가 집을 덮고 있고, 인물이 집에 등 돌리고 있음
  • SCT 반응:
    • “우리 집은 너무 __________.” → “조용해서 무섭다.”
    • “아빠는 항상 __________.” → “화를 낸다.”
    • “나는 내 얼굴이 __________.” → “지저분하다.”

해석
→ 집에 대한 불안 +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자기 이미지에 대한 부정감
→ 그림과 문장이 동일한 정서 주제를 공유하고 있음

치료 개입

  • “조용한 집이 무서울 수 있구나. 그럴 때 너는 어떻게 하고 싶어져?”
  • “그림 속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감정 명명 + 대화 유도 + 행동 대안 모색으로 이어짐


7. 상담 현장에서의 적용 팁 ✨

적용 방법실전 팁
그림 후 SCT 진행 그림의 감정 선행 → 언어 표현을 덧붙이는 방식
SCT 후 그림 그리기 언어로 드러난 감정을 시각화함으로써 해석 보완
세션 분할 1회차: 동적 HTP / 2회차: SCT / 3회차: 두 자료 종합 분석
가족 상담에서 사용 아이는 그림 / 부모는 SCT → 서로의 인식을 비교하는 가족 인터뷰 활용 가능

8. 마무리하며 🌿

동적 HTP는 그림에 관계와 감정을 불어넣고,
SCT는 말에 마음의 숨결을 실어줍니다.
둘은 서로 다른 방식이지만 같은 목표를 향해 갑니다.

그림과 문장,
선과 단어.
그 모든 표현은 결국 내담자가
“이건 제 마음이에요.”라고 말하는 또 하나의 언어입니다.

우리가 할 일은 그 표현을 해석하기보다, 경청하고 연결해주는 것입니다.
그림을 보고, 문장을 듣고,
그 사이에서 함께 마음을 읽는 것—
그것이 미술치료의 본질이자, 상담자의 따뜻한 역할입니다.